청소년가출 대처방법
평상 시 말도 잘듣고 학교생활도 열심히 하던 자녀가 어느날 느닷없이 가출했을 때 부모의 입장에선 정말 난감하고 당황스러울 것입니다. 또한 이 상황을 스스로 자책하거나 자녀에 대한 분노감도 갖을 수 있는데 하지만 이럴 때 가장 중요한 것은 감정보다 침착함을 유지하고 객관적으로 판단하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가출을 단행하는 청소년의 경우 충동적인면이 가장 많으며 단기가출형태가 많으므로 체계적으로 대응을 진행 한다면 빠르게 집으로 귀가시킬 수 있습니다.
가출했을 때 부모의 행동
제일먼저 자녀가 가출한 시간을 확인합니다. 마지막 나간 시점, 얼마나 시간이 지났는지 확인하고 나갈 때 어떤 물건을 가지고 나갔는지 확인합니다. 노트북, 현금, 옷, 가방, 등등
그 다음으로 해야할 사항이 지인들에게 연락을 하는 것입니다. 친구, 학원, 선생님, 친척, 그리고 자녀가 평상시 사용하던 sns, 카카오 스토리 등 오픈 채팅방도 확인해 보는 것이 좋으며 학교 상담실 또는 담임선생님에게 이 사실을 알리고 도움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빠른 대응
가출 청소년의 약 70%는 처음 24시간 내 보호자와 재접촉한다는 통계가 있습니다. 따라서 이 시점에 너무 감정적으로 대응하면 오히려 상황이 더 악화 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가출하는 원인
단순가출
평상 시 어울리던 친구들과 다투거나 성적 스트레스, 부모의 잔소리 등의 원인이 있을 수있으며 대부분 이런 경우엔 비교적 가까운 곳에 가거나 지인을 만날 확률이 높습니다. 만약 단순 가출했던 자녀를 만난다면 비난하기보단 걱정 중심의 대화가 좋습니다.
장기 가출
돈이나 옷 가방을 가지고 나갔다면 장기적으로 가출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럴 땐 정말 친한 친구나 연인과 통화 또는 메세지를 주고 받을 가능성이 높으므로 확인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경찰 또는 전문가에게 협조를 하는 것이 현명한 방법입니다.
피해형 가출
학교에서 왕따, 다툼, 폭력, 으로 안하여 도피한 경우입니다. 이 경우 경찰서 및 보호소 같은 곳에서 발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만약 이러한 자녀를 두었다면 자녀의 심리상태를 파악하는 것이 좋고 상담기관을 통해 장기적으로 치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colorpencili.com 탐정25 대응
부모와의 상담
우선 가출한 자녀를 둔 부모와 자세한 상담을 진행 합니다. 평상 시 성향이나 가출징후, 환경변화 등을 상세하게 정리하며 법적인 테두리 내에서 안전하게 찾을 수 있도록 전략을 안내해 드립니다.
자녀의 흔적 추적
핸드폰을 소지하고 있는 자녀의 정보를 알기 위해선 통신사의 협조를 통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또한 카톡 오픈채팅방이나 sns 참여 기록을 살펴보고 댓글이나 좋아요 활동 을 참고하여 동선을 추적합니다. 탐정25는 다른 흥신소는 보유하고 있지 않은 포렌식 기술을 도입하고 있고 이러한 기술과 분석능력으로 합법적으로 정보를 확보할 수 있도록 안내하고 있습니다.
잠복조사
디지털을 조사했을 경우 흔적을 찾을 수 없을 때 잠복조사를 진행 할 수있습니다. 평상시 자주 가던 pc방, 편의점, 공원, 찜질방, 친구집, 등 잠복을 통해 조사를 진행해 볼 수 있습니다. 탐정25는 부산, 창원, 울산, 양산, 김해, 진주, 등을 중심으로 대부분 움직이기 때문에 지역 지리에 밝고 능숙하게 움직일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만 18세 미만 미성년자의 경우 실종신고가 가능하게 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경찰에 실종신고를 제출하고 탐정25시를 통하여 흥신소도 함께 의뢰하여 빠른시간안에 찾아 내는 것이 중요합니다. 가출의 경우 시간이 너무 오래 지체되면 신변상의 위험도 있을 수 있어 빠르게 찾아내는 것이 최대 관건이라 할 수 있습니다.
가출 후 자녀와의 대화 방법
우선 처음부터 너무 다그치기 보다는 아이의 마음을 읽어주는 것이 좋습니다. 얼마나 힘들었니? 다시 와줘서 고마워? 같은 말을 통하여 여전히 자녀분을 사랑하고 걱정하고 있다는 마음을 비춰주세요
시간이 조금씩 지날 수록 아이와 함께 청소년 전문 상담기관을 찾아 상담을 받아 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또한 휴대푠 사용이나 sns 관리에 대한 지나친 관심과 사용제한은 다시 또 같은 상황을 반복되게 할 수 있는 악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강제 통제보다 대화로 기준을 세우는 것이 좋은 방법일 수 있습니다.
결론
혹시 내 자녀가 가출을 할까? 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청소년 가출은 해마다 늘어나고 있고 충분한 대화, 깊은 관계 중심의 교제가 이뤄지지 않는다면 언제는 우리 가정에도 이러한 가출이 일어 날 수 있음을 인지해야합니다. 가출의 이면에는 고통, 외로움, 방치, 상처, 가 존재할 수 있기에 이것을 근본적으로 치료하는 것이 중요할 수있습니다. 탐정25시는 자녀의 가출을 빠르게 수소문하여 찾을 수 있도록 전문가가 기다리고 있으며 언제든 전문적으로 도와 드릴 준비가 되어 있습니다.
혼자서 너무 고민만 하고 있지 마시고 전문가의 손을 잡아 주실 때 자녀가 빠르게 품으로 돌아올 수 있는 현명한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